본문 바로가기
주식

왕초보 주식용어 정리 2탄 - ROE ROA EV/EBITDA 정의 활용법 (애플 예시)

by 오늘도 도전 2022. 9. 3.
반응형

가치투자를 위한 주린이 탈출 프로젝트, 주식용어정리 2탄입니다. 1탄도 있으니 같이 보시면 좋아요~

왕초보 주식 용어 정리 1탄 - EPS PER PBR PSR PEG (애플 예시)

 

예시 화면은 seeking alpha 에서 애플 AAPL을 예시로 캡처했습니다.

 

1. ROE(Return On Equity, 자기자본이익률)

ROE=당기 순이익/자기자본

기업이 이익을 만들어내는 능력에 대한 지표로 높을수록 기업가치를 좋게 판단할 수 있는 중요지표입니다. 다만, ROE의 급격한 하락이 무조건 나쁘다고 볼 수 없는 것이, 실질 매출/영업이익의 하락일 수도 있지만 R&D투자 때문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 원인을 잘 파악해야 합니다. 반대로 ROE가 상승했지만 원인은 매출부진으로 인해 공장부지를 매각해 이익이 높아졌을수도 있으니까요.

 

대부분 투자자들은 ROE가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결정을 하게 마련입니다. 참고로 워렌버핏은 "ROE가 3년동안 15%이상인 기업"을 좋게 평가했다고 합니다.

 

반응형

 

2. ROA(Return On Assets, 총자산 순이익률)

ROA=당기 순이익/총자산
(총자산=자기자본+부채)

ROE와 다른 점이 보이시나요? 바로 '부채'입니다. ROA는 즉 본인자본과 부채를 합친 금액 대비 순이익을 얼마나 내는지 살펴보는 것이죠. ROA 역시 클수록 이익을 잘 내는 기업이라는 이야기지만, 다만 똑같은 이익을 내는데 부채가 크다면 ROA는 줄어들겠죠. 

 

기업에게 있어서 부채를 꼭 나쁘다고 볼 수는 없지만 얼마나 건전하고 적정하게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즉, ROE와 ROA의 차이가 심하게 크다면 부채가 과도하다는 것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.

 

A기업이 작년에는 순이익 20억, 자기자본 100억, 부채 20억 / 올해는 순이익 20억, 자기자본 100억, 부채 100억 이었다면

작년 ROE 20%, ROA 17%

올해 ROE 20%, ROA 10%

=> 올해 부채가 커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B기업 순이익 20억, 자기자본, 50억, 부채 250억 이라면

B기업 ROE 40%, ROA 7%

=> B기업이 ROE는 좋아보이지만 ROA를 통해 부채가 과도함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이러한 이유로 ROE를 볼 때는 ROA를 같이 봐야 하는 것입니다.

 

3. EV/EVITDA

EV(Enterprise Value)=시가총액+총 차입금-현금자산=기업 인수에 필요한 자금=기업가치
EBITDA=영업이익(법인세, 이자, 감가상각 차감 전)=기업의 현금창출능력

한국말로 읽을 때는 '이브이에비타'라고 읽습니다~ '인수금액 대비 현금창출능력'과 같은 뜻으로, 쉽게 말해 '이 기업을 인수하면 투자금액을 회수할 때까지 몇년이 걸리는지'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.

 

기업가치 대비 이익이기 때문에 PER과 비슷한 의미이긴 하지만, EV/EVITDA는 시가총액+차입금이 있고, 순이익이 아닌 영업이익을 보는 부분이 다릅니다. PER처럼 낮을수록 저평가 되어있는 것이며 동종업계와 비교해서 봐야 합니다.

* TTM (Trailing Twelve Month) 최근 12개월 실적 기준

* FWD (Forward) 미래 실적 가이던스 기준

 

 

그런데, 위에 표에 EV/EBITDA 바로 밑에 EV/EBIT 이 있습니다?

EBIT=영업이익(법인세, 이자 차감전)

EBITDA와 다르게 '감가상각' 차감을 한 영업이익인데요. 인프라/오일가스 같이 설비투자가 커서 감가상각비용이 많이 잡혀있는 섹터들은 EV/EBIT으로 살핀다고 합니다. 저평가되어있는 종목을 찾을 수 있는 지표입니다.


지표들이 많은 이유는 어느 것 하나만으로 그 기업의 상황을 설명하기에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모두 보면서 복합적으로 살펴봐야 하는 것이지요.

 

너무 용어들이 많고 비슷해서, 자꾸 보지 않으면 볼때마다 늘 새로운 용어로 보이는 것 같아요. 좋은 기업들의 지표들을 자꾸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시길 추천드려요~

반응형

댓글